CV
Curatorial
Sun Oh, Dinner with Family (2021), Performance, mixed media installation, 15min, 300x200x200 cm, Commissioned by the MODERN GROTESQUE TIMES, Courtesy of the artist.
Sun Oh, Dinner with Family (2021), Performance, mixed media installation, 15min, 300x200x200 cm, Commissioned by the MODERN GROTESQUE TIMES, Courtesy of the artist.
NA MIRA, tesseract (test), (2020) Still image, Courtesy of the artist.
NA MIRA, Night Vision (2018), 2 Channel infrared HD video, color, silent, 14:20min looped, Courtesy of the artist.
제목: 모던 그로테스크 타임스
구성: 전시
시간: 2021년 12월 18일 – 12월 31일
장소: space xx, 서울, 대한민국
역할: 기획
후원: 2021 서울문화재단 지원 선정
크레딧:
프로젝트
기획: 칼리고라이트(이혜원, 한아임)
편집: 이혜원, 한아임
웹페이지 디자인: 이혜원, 한아임
웹페이지 개발: 이민경
그래픽 디자인: 빡도(박도환)
번역: 이혜원, 한아임
사진: 서울문화재단(조현우), 윤정민
홍보: 이혜원, 한아임
출판: 범고래출판사
전시
기획: 이혜원
참여 작가: NA MIRA, 오선영, 빡도(박도환), 스터프 디자인(김균철, 류민주, 이현희, 조규형, 최선웅)
그래픽 디자인: 빡도(박도환)
공간 디자인: 스터프 디자인(김균철, 류민주, 이현희, 조규형, 최선웅)
영상장비: 올미디어
Category: Curatorial
Title: MODERN GROTESQUE TIMES
Components: Exhibition, Publication
Period: December 18, 2021 – December 31, 2021
Venue: space xx, Seoul, Korea
Role: Curator
Funding: Supported by the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2021
Credits:
PROJECT
Organizers: Caligolite(Hyewon Lee, Aim Han)
Editors: Hyewon Lee, Aim Han
Webpage Design: Hyewon Lee, Aim Han
Webpage Developer: Minkyung Lee
Graphic Design: Pakdo(Dohwan Park)
Translators: Hyewon Lee, Aim Han
Photography: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Hyunwoo Cho), Jeongmin Yoon
Promotion: Hyewon Lee, Aim Han
Cooperator: ORCABOOKS
Sponsor: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EXHIBITION
Curator: Hyewon Lee
Artists: NA MIRA, Sun Oh, Pakdo(Dohwan Park), STUFF DESIGN(Kyunchul Kim, Min, Minju Ryu, Hyunhee Lee, Kyuhyung Joe, Sunwoong Choi)
Graphic Design: Pakdo(Dohwan Park)
Exhibition Scenography: STUFF DESIGN(Kyunchul Kim, Min, Minju Ryu, Hyunhee Lee, Kyuhyung Joe, Sunwoong Choi)
AV: Allmedia
이혜원
‘그로테스크grotesque’란 아직 학술적으로 논쟁적인 광의의 개념어이지만, 일반적으로는 ‘괴기한 것, 극도로 부자연한 것, 흉측하거나 우스꽝스러운 것’ 등을 형용하는 말로 쓰인다. 본 전시는 동시대의 사회와 문화에서 나타나는 ‘지금, 여기’의 ‘그로테스크한 것’들을 사유하고, 탐구하여, 사람들과 공유해 보고자 기획되었다. 우리가 ‘그로테스크’한 것들에 주목한 배경은 간단하다.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시대가, 일상의 시공간이, 보고 듣는 사건들이 너무나도 ‘그로테스크’하다고 느껴졌기 때문이다. 전 세계가 동기화된 글로벌라이제이션을 발판삼아 등장한 팬데믹은 모든 상호작용의 비대면화·디지털화를 가속화했고, 그 결과 정보 이동의 시공간적 장벽은 더욱 낮아졌으며, 역설적으로 우리의 사회적 거리는―전 국민의 동선을 공유할 만큼―그 어느 때보다 가까워졌다. 하지만 동시에 감염병의 창궐은 사람들 사이에 가늠조차 어려운 심리적 장벽과 견고한 단절을 만들어냈다. 공포와 무지가 불 지핀 차별과 혐오는 바이러스보다 빠르게 사람들의 영혼을 잠식하고, ‘외부’로 규정된 집단에 대한 폭력을 부추기며, 지금 이 시간에도 납득하기 어려운 수많은 상실을 초래한다.
이런 현실을 탐구하기 위해 우리가 ‘그로테스크’ 개념을 경유하려는 까닭은 그것이 팬데믹이라는 미증유의 시대에도 더욱 증폭되어 나타난 사회적 폭력과 차별, 혐오 같은 일상의 어두운 부분을 탐구할 수 있게 해주는 시의적절한 개념적 도구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무언가가 ‘그로테스크’하다고 받아들여지는 것은 그 대상을 ‘나’ 혹은 ‘우리’에게 속한, ‘지금 여기의 것’이 아니라고 느끼는 데서 찾을 수 있다. 때문에 ‘그로테스크’는 단순히 기괴한 대상들을 느슨하게 지칭하는 개념을 넘어, ‘인간이 어디까지를 자신의 내부 혹은 외부로 규정하는지’의 경계선을 보여주는 개념이자, 그렇기에 필연적으로 ‘인간이 자신이 외부라고 규정한 것들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를 질문하는, 철학적이고 정치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일상에서 마주하는 ‘그로테스크’한 것들을 우리 내부의 경계를 직시하게 하는 나침반으로 삼아 ‘우리’ 안으로 편입되지 못한 영역들에 접근해 보는 작업을 수행하고자 했다.
이 프로젝트는 세 단계로 진행되며, 각 단계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체적인 연구와 실천을 구성한다. 먼저, 공동 연구의 일환으로 시각문화 영역에서 다양하게 나타나는 ‘괴물성’을 탐구하는 연구서를 번역·출판하며, 이는 프로젝트의 개념적 토대를 제공한다. 이어서 개별 연구로 웹사이트를 구축하고 9월부터 12월까지 온라인 정기간행물(웹진/뉴스레터)을 발행한다. 공문서와 보도자료, 신문의 중간쯤에 위치한 형식으로 매달 ‘그로테스크’와 관련된 콘텐츠를 업로드하며, 동시에 다양한 분야의 시각 예술가들과 협업하여 매달 신작을 의뢰한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의 시각화와 공유를 위해 12월 말 전시를 개최하고 도록을 발간함으로써, 연구의 성과를 다양한 방식으로 관객과 나눈다.
전시에서는 ‘동시대 서울’이라는 시공간에 집중한다. 서울에서 일상을 영위하는 우리는 몇 가지 ‘서울 특정적’인 키워드를 마주할 때, 일상과 그로테스크함의 기묘한 상관관계를 발견한다. 우리 삶의 일부인 동시에 다른 세계의 것인 ‘샤머니즘’이 그러하고, 나와 일상을 공유하는 가장 가까운 관계이기에 가장 촘촘하고 직접적인 폭력을 가하는 존재이기도 한 ‘가족’이 그러하다. 또는 내가 속한 시스템상에는 존재하지 않지만(그렇다고 생각했지만) 나의 삶에 엄연하게 영향을 끼치는 ‘북한’의 존재가 그러하고, 반대로 물리적으로 굳건히 존재하지만, 그 실체에는 접근할 수 없는 서울의 한 특정한 ‘장소’가 그러하다. 『모던 그로테스크 타임스』에서는 ‘지금, 여기에서 마주하는 그로테스크’라는 주제 아래, 동시대 서울의 일상에서 기묘한 감각을 경험케 하는 네 가지 키워드, ‘샤머니즘’, ‘가족’, ‘북한’, ‘장소’를 시각 예술가 네 명과 함께 살펴본다.
샤머니즘 shamanism × 나 미라 NA MIRA(aka DYLAN MIRA)
한국계 미국인인 나 미라는 로스앤젤레스에 기반하여 활동하는 시각 예술가이다. 작가는 설치, 조각, 사진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며 주로 영상 작품을 선보여 왔다. 그리고 이를 통해 한국의 다양한 역사적·문화적 요소들을 탐구해 왔다. 이번 전시에서 작가는 '샤머니즘'에 대해 관심을 발전시켜 온 궤적을 보여준다.
「밤 시각」은 한국 전통문화가 말살되던 일제강점기에 무당의 삶을 살았던 증조할머니와, 오토바이를 타고 휴전선을 넘어가고자 했던 삼촌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구성된 것으로, 작가가 무속적인 것에 대한 관심을 본격적으로 다루기 시작한 작품이다. 증조할머니에서 어머니를 거쳐 작가에게 이어지는 무속적 내력은 작가에게 물질적 현상을 넘어서는 영적 연결에 관심을 갖게 했다. 이 작품은 DMZ에 여전히 살아있다는 소문으로 존재하는 신수神獸, '한국 호랑이'를 찾기 위해 작가가 휴전선을 따라 여행하면서 촬영한 것으로, 작가는 무당에게 호랑이의 행방을 묻거나, 호랑이처럼 네 발로 기면서 포효하는 등 무속 의식적인 퍼포먼스를 행한다. 육체와 영혼의 경계를 넘나드는 샤먼이었던 할머니와, 국가와 체제의 경계를 넘어서고자 했던 삼촌의 이야기라는 가족사는 이 행위를 통해 'DMZ의 호랑이'라는 한반도의 식민·전쟁·분단의 근현대사를 상징적으로 관통하는 신화적 존재와 '접신'한다.
흥미로운 지점은 나 미라의 작품에서 한국의 무속신앙 같은 전통적이고 영적인 과거의 개념들이 현재와 연결되는 양태이다. 그중 하나는 파편적인 점프컷이 반복되면서 시간의 연속성을 파괴하는 특유의 기술적 형식이다. 이는 야간 투시 카메라로 촬영한 화면의 질감과 더불어 작품이 자아내는 괴한 분위기를 증폭시킨다. 작가는 무당을 만난 후 영상에서 과거의 화면이 반복되는 오류가 나타나기 시작했고, 그것이 「밤 시각」이 되었다는 기묘한 이야기를 들려주면서, "마치 무당처럼 카메라가 과거를 떠나지 않는데 내가 달리 어떻게 할 수 있었겠는가?"라고 되묻는다.
나 미라는 샤머니즘의 핵심이 자아와 타자, 그리고 세계가 물리적 경계를 넘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것, 즉 "땅, 공동체, 영혼과의 연결"에 있다고 본다. 이런 점에서 샤머니즘은 모든 존재가 네트워크로 연결된다는 '초연결hyper-connected' 개념 같은, 동시대 최첨단의 커뮤니케이션 방식과 공명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작가는 샤머니즘을 단순히 비과학적인 과거의 미신이 아니라, 현재와 연결되는 토착적인 지식으로서 오늘날의 삶과 소통 방식에 유효한 통찰을 주는 "오래된 미래Ancient Future"로 볼 것을 제안한다.
가족 family × 오선영 Sun Oh
오선영은 한국과 영국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시각 예술가이다. 주로 연극적인 무대장치 연출과 퍼포먼스, 영상을 활용하여 지극히 내밀한 개인사나 주변인과의 관계에서 경험하는 감정의 파열을 다룬다. 『모던 그로테스크 타임스』를 통해 한국 사회에서의 '가족'이라는 존재를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작가는 '가족 식사'를 소재로, 익숙하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어딘가 기괴함이 묻어나는 '동시대 한국 중산층 가정'의 모습을 재현한다.
가족은 오선영의 작업에서 강한 존재감을 갖고 있는 모티프이며, 다양한 방식으로 등장해왔다. 「Dinner with Father」 (2018)에서는 긴 테이블 반대편의 텅 빈 의자를 상대로 시한부 판정을 받은 아버지에게 전하지 못했던 이야기를 독백하며 가족과의 내밀한 일화를 작업의 소재로 다루었다면, 「Terrarium」 (2021)에서는 어머니와 연인이 작가의 몸을 이끼로 덮어 버리는 퍼포먼스를 고안함으로써 가족 구성원을 퍼포머로 참여시키기도 했다. 가족의 개념은 그 규모와 관계없이 하나의 덩어리로 다가온다. 사람과 공간이 뭉쳐진 것으로 말이다. 이는 우리의 언어생활에서 가족을 구성하는 '사람'을 중심으로 하는 개념인 '가족'과, '공간'을 중심으로 하는 개념인 '가정'이 혼용되는 모습에서도 드러난다. 이는 몸짓하는 '사람'과 그를 위해 조성된 인공적인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는 작품 구조와도 동형적이다. 전시장 안쪽에는 천장에 단단히 뿌리를 박고 뻗어 내려온 것처럼 보이는 거대한 돌덩이가 4인용 가족식탁에 둘러앉아 식사하는 사람들을 짓누르고 있다. 사람들은 제각기 일그러진 자세로 힘겹게 음식을 입으로 욱여넣는다. 그런데 이를 보다 보면, '사람들의 일그러짐이 정말 돌 때문일까' 하는 생각이 들기 시작한다.
오랫동안 가족은 인간이 안전하게 돌봄을 받으며 뿌리내릴 수 있는 이상적인 장소로 여겨졌다. 하지만 검색창에 '가정'이라는 단어만 쳐 보아도, 알고리듬이 '폭력'이라는 나머지를 제안해 주는 것처럼, 우리는 가족이 '누구에게나' 그런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알고 있다. 가장 가까운 관계이기에 가장 촘촘하고 섬세한 폭력을 행사하는 관계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일상적인 폭력의 구조는 팬데믹이라는 새로운 삶의 형식 속에서 더욱 강화되는 듯하다. 유엔여성기구에 따르면 코로나로 인해 집에 머무르는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가정폭력 사건 역시 크게 늘었다고 한다. 오선영은 이처럼 오늘날 '우리들의 일그러진 가족'의 모습을 수행함으로써 이상적인 가족 모델에 의문을 제기하며, 오늘날에도 가족은 여전히 누군가의 희생을 집어삼키며 돌아갈 수밖에 없는 역학에 기반한다는 사실을 암시한다.
북한 North Korea(DPRK) × 빡도 Pakdo
빡도는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그래픽 디자이너이자 LGBT 운동가이다. 다양한 전시의 그래픽 작업에 참여해 왔으며, 디자인이라는 매체를 통해 사회적 소수자들이 겪는 문제에 대해 꾸준히 발언해 왔다. 빡도는 전시 그래픽 디자인과 함께 '북한' 키워드를 다룬다. 『모던 그로테스크 타임스』는 작가에게 북한의 '조선콤퓨타센터'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컴퓨터 시스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인 '붉은별'을 활용하여 전시의 아이덴티티 디자인 작업을 제작해 줄 것을 의뢰했다.
북한은 작가의 오랜 관심 대상이기도 했다. 대학 시절 일본을 여행하던 중, 도쿄 한복판에 북한의 지원을 받는 조선인 학교가 있다는 이야기를 들은 작가는 호기심을 이기지 못하고 몰래 그곳에 들어가 본 적이 있다고 한다. 그곳에서 마주한 흑백의 치마저고리를 입은 여학생들, 북한 관련 DVD 자료들, 교내 게시판에 붙어있던 선전 포스터는 남한의 디자이너에게 북한과 관련된 시각물에 관심을 갖게 했다.
운영체제는 윈도우Windows, 매킨토시Macintosh와 같이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작동시키고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기반 플랫폼을 말한다. 그것은 컴퓨터라는 시스템 안에서 일어나는 모든 활동의 작동 방식을 결정하는 환경이자 한계라고 할 수 있다. 작가는 이 붉은별이라는 운영체제의 구성 논리가 시각화된 표면이자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는 내장 이미지, 즉 배경 화면, 아이콘, 포인터 등 시스템을 조직하는 기본 시각 요소 이미지들을 활용하여 전시의 시각적 '정체성'을 구성했다. 작가가 소재로 쓴 이미지들은 북한 특유의 촌스러움을 보여주는 한편 생각보다 현대적이라 놀라움을 자아내는데, 이는 붉은별이 리눅스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는 사실 외에도, 윈도우와 매킨토시의 시각 요소들을 그대로 '빼다 박은' 데서 기인한다. 자국 과학기술의 첨단성을 선전하기 위해 북한 체제의 대척점에 존재하는 최대의 적대국인 미국의 '운영체제'를 모방하는 이런 상황은 그야말로 그로테스크하다.
이런 맥락에 기반하여 빡도의 작품에서 붉은별은 컴퓨터 조작체계로서의 지위를 넘어, 실존하는 북한의 국가운영체제에 대한 디지털 아날로지analogy로 작동한다. 또한 작가는 이 아이덴티티 이미지를 위해 액자를 맞추고 꽃으로 제단을 쌓는다. 이는 북한 관련 뉴스에서 자주 보던 장면으로, 열렬히 환호하는 북한 주민의 손끝을, 금수산태양궁전에 안치된 전 북한 지도자의 미라를 떠오르게 한다. 만약 여기서 흥미로움과 함께 그로테스크함이 느껴진다고 한다면, 그것은 북한의 '운영체제'가 작동하는 방식이 너무나 생경하고 이질적인 동시에 우리의 그것과도 크게 다르지 않다는 생각에서 오는 것일지도 모른다.
장소 place × 스터프 디자인 STUFF DESIGN
스터프 디자인(이하 스터프)은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며 다양한 배경의 구성원들로 이루어진 디자이너 콜렉티브이다. 이들은 특히 소재와 물성을 탐구하여 그것을 새롭게 재해석하는 실험적인 작업을 거듭해왔다. 『모던 그로테스크 타임스』로부터 서울의 '특정한 장소'를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를 의뢰받은 스터프는 장소에 대한 물리적·개념적·실험적 접근을 시도하면서, 현실과 판타지 사이에서 장소가 주는 기묘한 감각을 동시대의 사회·경제적 구조와 엮어낸다.
「뻥」 (2021)은 평범하고 평화로운 서울의 한 아파트 단지 가운데 있는 수상쩍은 건물에서 시작되었다. '강남창고'라는 현판을 내건 이곳은 외부인의 접근이 금지된 '정부 관리 양곡 보관창고'라고 한다. 정부 관리 양곡 보관창고란 비상상황에 대비하여 식량안보를 확보하기 위해 공공비축미를 보관하는 곳이다. 저소득층이나 재난구호를 위해 쌀을 보급하여 조선 시대부터 이어져 온 구휼기관의 역할을 하거나, 북한에 식량 원조를 보내기도 한다. 또한 쌀의 가격이 상승하면 곳간을 열어 '양곡의 양적 완화'를 진행하고, 가격이 하락하면 낮은 가격에 사들여 쌀 가격의 변동 폭을 조정하는 '중앙은행' 같은 역할도 맡고 있다.
일상적이지만 어딘가 모르게 낯설고 기묘한 장소가 있다. 기획자에게는 강남창고가 그러했다. 오늘날 찾아보기 힘든 건물의 외관과, 항상 굳게 닫힌 철문, 수화기 너머 극도로 외부를 경계하는 날선 목소리는 이런 감각을 더욱 증폭시켰다. 근대화와 냉전의 유산 위에서 일상을 영위하는 우리는 비밀스러워 보이는 장소를 마주할 때면 무의식적으로 국가권력과 결부된 어두운 무언가를 상상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작품은 강남창고라는 특이한 장소를 탐색하는 것에서 나아가 한 개인이 느낀 장소감이 타인에게 전달되면서 다른 층위의 의미로 변이되고 확장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스터프는 이 기묘한 장소감을 '강남창고가 "지금, 여기"에서 왜 그로테스크하게 느껴지는가?'라는 물음으로 연결한다. 말하자면 그것은 이 '금싸라기' 같은 강남 땅 한복판에, 가상 화폐로 하룻밤 만에 억만장자가 되는 자본의 시대에, 전통 사회의 가치를 대표하는 '쌀'과 그것을 켜켜이 쌓아 두는 정부의 비밀스러운 창고가 존재한다는 사실에서 오는 이질감일 것이다.
이러한 장소의 맥락에서 스터프가 주목한 것은 강남창고의 존재의 이유인 '쌀'이다. 그리고 이러한 맥락에 특유의 위트로 접근하여 물리적으로 치환해 낸 결과물이 바로 '뻥튀기'이다. 쌀을 밀폐시킨 후 열과 압력을 가하면 엄청난 굉음과 함께 '뻥튀기'가 된다. 물리적 질량은 동일하지만 찰나의 순간을 지나면 다공질의 스펀지 형태가 되면서 밀도가 줄어들고 부피만 수배로 커지게 되는 것이다. 원래의 상태나 가치에 비해 지나치게 부풀려져 있음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인 「뻥」은 강남창고를 경유하여 오늘날 무력할 정도로 쉽게 무한 증식하는 고도로 가상화된 금융 자본주의 시대에 대한 언어적 유희이자 물리적 은유로 기능한다.
Curatorial Statement
Hyewon Lee
The term grotesque remains a broad concept that is still contested in scholarly discourse, but it is generally used to describe what is bizarre, extremely unnatural, horrific, or absurd. This exhibition was conceived to contemplate, investigate, and share with the public those manifestations of the grotesque that permeate contemporary society and culture in the “here and now.” Our attention to the grotesque stems from a simple observation: the time in which we live, the spaces and durations of our daily lives, and the events we witness and hear about often strike us as profoundly grotesque. Against the backdrop of globalization, the pandemic accelerated the virtualization and digitization of all forms of interaction, thereby lowering spatial and temporal barriers to the flow of information. Paradoxically, our social distance has become closer than ever—so close that the movements of entire populations have been mapped and shared. Yet at the same time, the spread of disease has generated psychological barriers and entrenched divisions that are almost impossible to measure. Fear and ignorance have fueled discrimination and hatred, corroding human integrity faster than the virus itself, inciting violence against those deemed “outsiders,” and resulting in countless losses that remain incomprehensible even now.
Our decision to approach these realities through the lens of the grotesque lies in the belief that it serves as a timely conceptual tool for examining the darker strata of everyday life—social violence, discrimination, and hatred—that have intensified during this unprecedented era of the pandemic. The experience of perceiving something as grotesque arises from the sense that it does not belong to “me” or to “us,” that it is not of the “here and now.” In this way, the grotesque goes beyond merely designating a collection of strange objects; it delineates the boundaries by which human beings distinguish what lies within or outside of themselves. Consequently, it inevitably poses a philosophical and political question: how do we receive and respond to that which we have defined as external? This project thus takes as its compass those “grotesque” elements we encounter in our daily lives—elements that force us to confront the boundaries of our own interiority—and strives to approach domains that have not yet been assimilated within the contours of “us.”
The project unfolds in three interlinked phases, each contributing organically to its broader research and practice. First, as a collaborative inquiry, we translate and publish a scholarly volume that explores monstrosity across diverse domains of visual culture, providing a conceptual foundation for the project. Second, through an individual research component, we develop a dedicated website and, from September through December, publish an online periodical (webzine/newsletter). Each month, we upload content related to the grotesque—texts situated between the forms of official documents, press releases, and newspapers—while commissioning new works from artists in various fields. Finally, to visualize and share our findings, we will mount an exhibition and publish a catalogue at the end of December, offering the outcomes of this research through multiple channels of engagement.
The exhibition itself centers on the spatiotemporal context of contemporary Seoul. As inhabitants of this city, we encounter certain “Seoul-specific” keywords through which the uncanny affinities between everyday life and the grotesque become apparent. Shamanism is one such domain—both an intimate part of life and an otherworldly presence. So, too, is family, which, as the closest of relationships, can also be the most intricate and direct in its capacity for violence. There is also North Korea, which, though absent from the systems we inhabit—or so we might think—nonetheless exerts tangible influence on our lives. Finally, there are certain places in Seoul that are physically solid yet remain inaccessible, their true nature forever elusive. Under the theme “Encountering the Grotesque in the Here and Now,” Modern Grotesque Times explores these four keywords—shamanism, family, North Korea, and place—in collaboration with four visual artists, examining how they engender uncanny sensibilities within the fabric of contemporary urban life.
Shamanism × Na Mira (aka Dylan Mira)
Na Mira, a Korean American visual artist based in Los Angeles, works across installation, sculpture, photography, and especially moving image to explore diverse layers of Korean history and culture. In this exhibition, Mira traces her sustained engagement with shamanism.Her video work Night Vision centers on the life of her great-grandmother, who lived as a sham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en Korean traditions were suppressed, and on her uncle, who once attempted to cross the Demilitarized Zone (DMZ) on a motorcycle. This family history sparked Mira’s deeper investigation into the spiritual realm. Her matrilineal inheritance of shamanic sensibility—passing from great-grandmother to mother to herself—prompted an interest in connections that transcend the material.
Filmed while traveling along the DMZ in search of the legendary Korean tiger, said to still roam the area, the work documents the artist’s encounters with shamans, her own shamanic performances—crawling on all fours, growling like a tiger—while invoking myths that symbolically cut across Korea’s modern history of colonization, war, and division.
Technically, Night Vision disrupts temporal continuity through fragmented jump cuts, amplified by the eerie texture of night-vision imagery. Mira recounts that, after meeting a shaman, her camera inexplicably began to replay old footage within new recordings, leading her to reflect: “If the camera itself clings to the past, like a shaman does, how could I resist?”
For Mira, the core of shamanism lies in an organic interconnectedness that transcends physical boundaries—land, community, spirit. In this sense, shamanism resonates with hyper-connectivity, the condition of our contemporary digital age. Rather than dismissing shamanism as an archaic superstition, Mira proposes it as a form of indigenous knowledge offering critical insight into today’s modes of communication—an ancient future.
Family × Sun Oh
Sun Oh, a visual artist working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Kingdom, stages theatrical installations, performances, and videos to address the fissures in intimacy experienced within personal relationships. Through Modern Grotesque Times, she examines the concept of family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by focusing on the domestic ritual of shared meals.Family has long been central to Oh’s practice. In Dinner with Father (2018), she performed a monologue addressed to an empty chair across the table, recounting untold stories to her terminally ill father. In Terrarium (2021), her mother and partner participated as performers, covering the artist’s body with moss. For Oh, the family is not merely a group of individuals but an aggregate of bodies and spaces, as suggested by the interchangeable use of family (people) and home (space) in Korean.
In the exhibition, a massive stone descends from the ceiling, pinning down a four-person dining table. Around it, figures contort their bodies, struggling to eat. Viewers begin to wonder: Is it truly the stone that distorts them? Long idealized as a site of safety and care, the family can also be the most immediate locus of violence. The pandemic intensified this paradox; according to UN Women, domestic violence cases surged as households remained confined. Oh’s work performs this dissonance, questioning the idealized family model and revealing the unsettling truth that, even today, family often operates on dynamics sustained by someone’s sacrifice.
North Korea × Pakdo
Pakdo, a graphic designer and LGBTQ+ activist based in Seoul, has long used design as a platform for addressing issues faced by marginalized communities. In this project, Pakdo explores North Korea through graphic identity design for the exhibition.The commission involved an unusual request: to design the exhibition’s visual identity using Red Star, the operating system developed by North Korea’s Korea Computer Center. Operating systems such as Windows or macOS provide the underlying platform that determines how all processes run on a computer. Pakdo examined the system’s core images—wallpapers, icons, cursors—and built the exhibition’s identity from them. Strikingly, the imagery oscillates between quaintly outdated and unexpectedly modern, revealing that Red Star was modeled on Linux yet mimics Western visual conventions almost exactly.
This paradox—adopting the aesthetic of a geopolitical adversary while proclaiming technological self-reliance—is itself grotesque. Pakdo extends this tension through the installation: frames and floral tributes evoke familiar North Korean ceremonial displays, recalling televised images of jubilant crowds or the embalmed bodies of former leaders at Kumsusan Palace of the Sun. The result is a digital analogy, wherein Red Star stands not only for a computer interface but also as a metaphor for the North Korean state apparatus itself.
The viewer’s uncanny response—the sense that this alien system feels strangely similar—captures the disquieting familiarity at the heart of the grotesque.
Place × STUFF DESIGN
STUFF DESIGN, a Seoul-based collective, is known for its experimental approach to materiality and form. Commissioned to consider a specific place in Seoul, they pursued both physical and conceptual exploration, revealing uncanny resonances between site, fantasy, and socio-economic structures.Their work Pop (2021) begins with an unassuming yet enigmatic building in a residential complex: a government grain storage facility called Gangnam Warehouse. This restricted-access site preserves rice as a public reserve for emergencies, stabilizing market prices through controlled release and purchase.
The curator perceived in this place a strange, disquieting aura—an anachronistic building, perpetually sealed gates, and a voice on the phone bristling with suspicion. Such sites, remnants of modernization and the Cold War, unconsciously evoke state power and secrecy.
Pop explores how personal impressions of a site can be transmitted and transformed into broader cultural meaning. STUFF links this uncanny atmosphere to the question: Why does Gangnam Warehouse feel grotesque in the here and now? In a district where land prices soar and virtual capital multiplies overnight, the presence of a government grain depot—storing rice, a symbol of traditional value—creates a jarring dissonance.
The collective approaches this dissonance through wit and material transformation. Heating and compressing rice in a sealed chamber yields a sudden, thunderous explosion—puffed rice. Its mass remains constant, yet its volume expands dramatically. The Korean word ppeong (pop) also connotes something excessively inflated beyond its original value. STUFF thus renders a poetic, physical metaphor for the speculative inflation and virtualized capital that shape contemporary urban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