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이름없는 장소들 This Nameless Site
Curatorial

Exhibition view of the 2024 K-Arts space Opening Exhibition 𝑻𝒉𝒊𝒔 𝒏𝒂𝒎𝒆𝒍𝒆𝒔𝒔 𝒔𝒊𝒕𝒆𝒔. Photo: Dongwoong Lee. Courtesy of the Center for Visual Studies of the School of Visual Art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Exhibition view of the 2024 K-Arts space Opening Exhibition 𝑻𝒉𝒊𝒔 𝒏𝒂𝒎𝒆𝒍𝒆𝒔𝒔 𝒔𝒊𝒕𝒆𝒔. Photo: Dongwoong Lee. Courtesy of the Center for Visual Studies of the School of Visual Art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Aram Lee, From Pyongyang to Pluto and Back, 2019, Two-channel video, color, sound, 12 min., Supported by Arts Council Korea (ARKO) and Jan van Eyck Academie, Courtesy of the artist
Exhibition view of the 2024 K-Arts space Opening Exhibition 𝑻𝒉𝒊𝒔 𝒏𝒂𝒎𝒆𝒍𝒆𝒔𝒔 𝒔𝒊𝒕𝒆𝒔. Photo: Dongwoong Lee. Courtesy of the Center for Visual Studies of the School of Visual Art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Exhibition view of the 2024 K-Arts space Opening Exhibition 𝑻𝒉𝒊𝒔 𝒏𝒂𝒎𝒆𝒍𝒆𝒔𝒔 𝒔𝒊𝒕𝒆𝒔. Photo: Dongwoong Lee. Courtesy of the Center for Visual Studies of the School of Visual Art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Exhibition view of the 2024 K-Arts space Opening Exhibition 𝑻𝒉𝒊𝒔 𝒏𝒂𝒎𝒆𝒍𝒆𝒔𝒔 𝒔𝒊𝒕𝒆𝒔. Photo: Dongwoong Lee. Courtesy of the Center for Visual Studies of the School of Visual Art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Exhibition view of the 2024 K-Arts space Opening Exhibition 𝑻𝒉𝒊𝒔 𝒏𝒂𝒎𝒆𝒍𝒆𝒔𝒔 𝒔𝒊𝒕𝒆𝒔. Photo: Dongwoong Lee. Courtesy of the Center for Visual Studies of the School of Visual Art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Exhibition view of the 2024 K-Arts space Opening Exhibition 𝑻𝒉𝒊𝒔 𝒏𝒂𝒎𝒆𝒍𝒆𝒔𝒔 𝒔𝒊𝒕𝒆𝒔. Photo: Dongwoong Lee. Courtesy of the Center for Visual Studies of the School of Visual Art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Exhibition view of the 2024 K-Arts space Opening Exhibition 𝑻𝒉𝒊𝒔 𝒏𝒂𝒎𝒆𝒍𝒆𝒔𝒔 𝒔𝒊𝒕𝒆𝒔. Photo: Dongwoong Lee. Courtesy of the Center for Visual Studies of the School of Visual Art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Exhibition view of the 2024 K-Arts space Opening Exhibition 𝑻𝒉𝒊𝒔 𝒏𝒂𝒎𝒆𝒍𝒆𝒔𝒔 𝒔𝒊𝒕𝒆𝒔. Photo: Dongwoong Lee. Courtesy of the Center for Visual Studies of the School of Visual Art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Exhibition view of the 2024 K-Arts space Opening Exhibition 𝑻𝒉𝒊𝒔 𝒏𝒂𝒎𝒆𝒍𝒆𝒔𝒔 𝒔𝒊𝒕𝒆𝒔. Photo: Dongwoong Lee. Courtesy of the Center for Visual Studies of the School of Visual Art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분류: 큐레토리얼
제목: 2024 K-Arts space 개관전 《이 이름없는 장소들》
구성: 전시, 프로그램
시간: 2024년 12월 11일 – 2025년 12월 31일
장소: K-Arts Space(구 갤러리175), 서울, 대한민국
역할: 큐레이터
후원: 한국예술종합학교 조형연구소 지원

크레딧:
주최·후원: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조형연구소
총괄: 임민욱 조형연구소장
기획: 이혜원
참여 작가: 김규림, 이아람
행정: 임민지 조교
공간디자인 자문: 이누리
공간 디자인: 미공개건축사사무소
그래픽 디자인: macadamia oh
미디어: 미지아트, Pip Chodorov (16mm)
전시 연계 프로그램: 김규림, 이아람, 이혜원, 레이첼 레이크스
편집: 이혜원
통역: 위형빈
번역: 에이스번역
사진·영상: 이동웅
출판: 범고래출판사


Category: Curatorial
Title:  2024 K-Arts space Opening Exhibition This nameless sites
Components: Exhibition, Program
Period: December 11, 2024 – December 31, 2024
Venue: K-Arts Space (formerly Gallery 175), Seoul, Korea
Role: Curator
Funding: Supported by the Center for Visual Studies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K-Arts)

Credits:
Hosted and Sponsored by:  the Center for Visual Studies of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Overall Supervisor: Minouk Lim, Director of the Center for Visual Studies
Curated by: Hyewon Lee
Artist: Kyulim Kim, Aram Lee
Administration: Minjee Yim
Space Design Advisor: Nury Lee
Space Design: migonggae architects
Graphic Design: macamdamia oh
Media Installation: MIZIART, Pip Chodorov (16mm)
Exhibition Program: Kyulim Kim, Aram Lee, Hyewon Lee, Rachael Rakes
Editor: Hyewon Lee
Interpretation: Matt Wie
Translation: ACE Translation
Photography & Filming: Dongwoong Lee
Publication: ORCABOOKS









기획의 글:  장소의 공동空洞


어떤 일이 이루어지거나 일어나는 곳을 우리는 장소라 부른다. 어떤 장소를 지칭할 때, 그것은 단일한 하나로 지칭되지만 우리는 그것이 실은 매우 다층적이고 복수적인 것임을 안다. 여기, 이름없는 장소들이 있다. 그곳은 실재하는 장소일 수도, 실재하지 않는 장소일 수도 있으며, 보이지 않거나 가닿을 수 없어 상상 속에만 존재하는 장소이기도 하다. 여기서 ‘이름없음’이 지시하는 것은 장소에 존재하는 공동, 즉 비어 있는 부분이다. 그것은 명명할 수 없고 호명할 수 없었던 복수의 결핍과 상실, 누락, 공백 같은 빈자리를 가리킨다. 《이 이름없는 장소들》은 이러한 장소의 공동을 응시하고 추적하며, 그것을 새롭게 이름하려는 시도이다. 전시는 이아람, 김규림이 각자의 방식으로 장소, 물질, 시간의 공동을 매개하는 과정과 함께, 서로의 연구와 실천이 교차되며 의미가 절합되는 지점을 살핀다.


부재가 증거하는 존재: 지배 제도와 서사에서 탈각된 것들의 통로

장소의 빈자리는 어떤 대상의 상실과 결여의 흔적이라는 점에서 역설적으로 존재를 증거한다. 이아람은 주로 서구 헤게모니와 모더니티 서사를 위시한 지배적인 상징 체계 아래, 상실되고 대상화된 사물의 이동과 문화적 변위의 경로를 추적해 왔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타자화되고 탈각된 흔적과 기억을 재위치시키고 해방시키는 작업을 지속해 왔다. 박물관으로 대표되는 역사 아카이브를 서구 근대가 형성한 세계관과 지식 체계의 총체라고 할 수 있다면, 이아람의 작업이 관통하는 빈자리는 이런 공적인 기억의 시스템과 제도적 장소에서 “끊임없이 살균되고, 움직임이 허락되지 않고, 자세함을 가질 수 없고, 신체가 독점 당하고, 집으로 돌아갈 수 없으며, 생태화 될 수 없고, 익명의 숫자로 불린” 것들이라고 할 수 있다. 가령, 이번 전시에서 작가는 각각 라이브 라디오, 영상, 퍼포먼스 등 다종의 매체를 통해 박물관에서 제도를 작동시키는 구조, 개인의 신체, 문화적 자본의 내외부를 구분짓는 권력의 문제에 틈입하여 재조직과 재활성화를 시도한다. 또한 미국의 북한 전문분석기관의 디지털 아카이브에 저장된 북한 위성사진으로 재현의 문제를 다룬다. 이처럼 이아람은 선형적 지배서사가 작동시키는 특정한 재현 양식과 전형화를 교란하고 그곳에서 떨어져 나온 것의 복귀와 유통을 도모하는 방식으로 제도비판을 수행한다. 이로써 주체와 대상, 환경의 경계를 흐리고, 현실의 습관적인 시간성과 고정된 존재양식을 끊임없이 중단시키고자 한다. 


공백으로 채워진 여백: 비가시성의 가시성

기존의 시스템이 채운 장소의 공백에 대하여 이아람이 현실과 가상의 중첩을 통해 그 위치를 흔드는 방식으로 접근한다면, 김규림은 그 공백 자체를 응시하며 기술적으로 그 불완전성을 증폭시킨다. 공동, 즉 텅 빈 구멍은 시스템 상 등록되지 않은 데이터의 공백을 의미하기도 한다. 김규림은 기술 장치를 통해 이동과 변형으로 인해 상실된 장소의 시간을 되새기거나, 이동의 과정에서 이동되지 않는 장소의 물질과 시간을 탐구해 왔다. 그 연장 선상에서 작가는 기술 매체를 인간의 확장된 감각으로 위치시키는 가운데 보이지 않는 것을 보고자 하는 인간의 의지와 기술적 한계, 그리고 양자가 빚어낸 불확실한 이미지와 그 의미에 천착한다. 전시에서 선보이는 일련의 작품은 2019년 4월 과학자들이 공개한 블랙홀의 이미지가 갖는 불확실함에서 시작되었다. 정확히는 블랙홀 주변 가스의 움직임으로 이미지의 밝은 부분의 위치가 계속해서 변하는 현상인 ‘흔들리는 그림자’에서다. 이 현상이 실제 물리적 현상인지, 관측 데이터를 이미지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알고리즘이 임의로 보완한 효과인지는 아직 알 수 없다. 천문학자들에게 이 검고 흐릿하고 선명하지 않은 블랙홀 이미지는 더 많은 데이터로 채워야 할 공백이지만, 작가에는 흥미로운 질문과 사변적 상상을 허락하는 여백이다. 특히 작가는 블랙홀 이미지의 검은 부분이 관측소가 없는 물리적 공백이 야기한 결과라는 사실과, 이 공백이 실측 데이터가 만든 이미지와 동일하게 이미지로 기능하고 있다는 데 주목했다. 그리고 이 현상을 구조화 하여 일련의 작품으로 재구성했다. 여기서 작품의 주요 매체가 16mm 카메라라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보급형 하위모델로 감도가 낮고, 현상이라는 예측불가의 과정을 거쳐야만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여러모로 불확실한 매체이다. 전시에 ‘온전한’ 영상과 함께 배치되는 것은 망실된 영상의 캐시파일을 16mm 필름에 전환한 영상과 고장난 16mm 카메라로 찍힌 흐린 영상이다. 또한 블랙홀 전자기파 수신기에서 반사되는 신호의 경로를 작품으로 물질화 하기도 한다. 이처럼 김규림은 불확실함과 불완전함을 거듭 교차시키면서 장소/데이터의 공백, 비가시성, 기술적 한계를 가시화하고 이를 물리적 현실의 조건에서 작동시킨다.


상실과 미완의 잠재성

그렇다면 이아람과 김규림의 작업을 관통하여 우리는 무엇을 건져올릴 수 있을까? 두 작가의 작업에서 탈각된 것들의 통로 혹은 빈 공백으로 매개된 장소는 그 자체로 곧 새로운 서사의 유입과 생성을 예고하는 가능성의 매체가 된다. 《이 이름없는 장소들》은 이들이 그 공동에서 실험한 새로운 시각적, 서사적 가능성과 미완의 잠재성을 공유하고자 한다. 그 잠재성은 아마도 이름없고, 여기 있고, 아직 도래하지 않은 것들을 포착해서 그것의 존재 양식을 조형하는 일일 것이다. 두 작가의 실험이 의미 있는 이유는 이들이 거대한 역사적 서사나 기술적 총체성을 기반으로 연속적으로 구축된 통합적인 세계상에 균열을 내고, 시간과 장소의 시차와 파열에 기반하여 파편적이고 단절적인 이미지의 가능성을 실험하는 데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혜원 (기획자)






Curatorial statement: The void on site


A site is where events occur and phenomena emerge. When referring to a particular site, it is often named as a singular entity, yet we know that it is, in fact, layered and multifaceted. Here lie the nameless sites. These sites may be real or unreal, sometimes existing only in imagination—invisible and beyond reach. Here, 'namelessness' indicates the void inherent in the site—its fundamental absence. It points to the voids on sites—absences that resist both naming and calling, characterized by deficiency, loss, and omission. This nameless sites attempts to contemplate and trace these voids on site while seeking to articulate them anew. The exhibition examines how Aram Lee and Kyulim Kim mediate spatial, material, and temporal voids through their distinct approaches while exploring the critical junctures where their research and practices intersect.

Presence Through Absence: Passages for the Detached in Institutional Systems

The void on site paradoxically reveals presence through loss and absence. Aram Lee traces trajectories of detached and objectified artifacts within dominant symbolic systems, particularly those shaped by Western hegemony and modernist narratives. Throughout this process, she works to uncover and liberate traces and memories that have been othered and detached. If museum archives embody the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systems of Western modernity, then the sites that Lee traverses contain elements "systematically sterilized, immobilized, stripped of specificity, monopolized, exiled, denied ecological existence, and reduced to statistics" within these institutional frameworks and collective memory. 

In this exhibition, the artist employs multiple media—live radio, video, and performance—to intervene in and reconfigure the power dynamics inherent in museum structures, embodied experience, and cultural capital. Also, she examines representation through North Korean satellite imagery in institutional archives. Through these interventions, Lee conducts institutional critique by disrupting established patterns of representation while creating passages for the return of detached elements. By blurring the boundaries between subject, object, and environment, Lee aims to constantly disrupt the habitual temporality and fixed modes of existence of reality.


Blank Filled with Void: Visualizing the Invisible

Where Aram Lee approaches voids by destabilizing their positions through the convergence of reality and virtuality, Kyulim Kim contemplates these voids while technologically amplifying their incompleteness. A void—an absence within spatial systems—manifests as unregistered data within institutional frameworks. Through technological devices, Kim explores the temporality of sites detached through separation and transformation, while examining the materiality and time of sites that remain static amid movement. Building on this, the artist positions technological media as extended human sensory capabilities, investigating humanity's will to perceive the invisible, technological limitations, and the uncertain images and meanings emerging from their interplay.

The series of works here originates from the incompleteness inherent in the black hole imagery released by scientists in April 2019—specifically, the phenomenon known as 'A Wobbling Shadow,' where luminous regions continuously shift position due to gas movements around the black hole. Whether this phenomenon represents a physical occurrence or an algorithmic effect in the data—to—image conversion process remains undetermined. While astronomers view this dark, blurry black hole image as a void requiring more data, for the artist it becomes a blank for speculative inquiry and imagination. The artist focuses particularly on how the dark regions in the black hole image emerge not from observational data but from physical absences—areas without observatories—yet these data voids function identically to images generated from actual observations. These observations have been structured into an interconnected series of works.

The primary medium is a 16mm camera—a device with low sensitivity that creates images through the unpredictable process of film development, embodying technological imperfection. While documenting sites like abandoned mine caves and horizon sunsets, the exhibition presents a juxtaposition: complete footage alongside blurred images from malfunctioning 16mm cameras and a recovered cache file of lost drone footage transferred to 16mm film. Additionally, the artist transforms invisible electromagnetic signals—reflected and induced by black hole receivers—into physical structures. In this way, Kim repeatedly explores the intersections of uncertainty and incompleteness, revealing the gaps, invisibilities, and technical limitations of site/data, and operationalizing them within the framework of physical reality.


The Potential of Loss and Incompleteness
Then, what can we draw from the works of Aram Lee and Kyulim Kim? The pathways formed by what has been stripped away in their works, or the sites mediated by empty voids, become, in themselves, mediums of possibility—foretelling the influx and creation of new narratives. This nameless sites seeks to share the visual and narrative potentialities and the latent incompleteness that the artists have explored within this shared realm. This potentiality might involve capturing what is nameless, what is here, and what is yet to come, and reshaping their modes of existence. The significance of their experiments lies in their disruption of an integrated worldview—continuously constructed through grand narratives or technological totality—and their pursuit of fragmented, discontinuous images rooted in the ruptures and disjunctions of time and place.


Hyewon Lee (Curator)






COPYRIGHTⓒ 2025 HYEWON LEE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