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
Curatorial
제목: 방금 전의 소문과 오래된 증거로부터
구성: 전시
시간: 2025년 8월 29일 – 2025년 9월 14일
장소: 챔버, 서울, 대한민국
역할: 큐레이터
후원: 2025 인천문화재단 청년예술인창작지원 선정
Category: Curatorial
Title: From Recent Rumors and Old Traces
Components: Exhibition
Period: August 29 – September 14, 2025
Venue: Chamber, Seoul, Korea
Role: Curator
Funding: Supported by the Incheon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2025
《방금 전의 소문과 오래된 증거로부터》는 사람과 물건의 이동을 통해 한때 철도로 연결되었던 동북아시아 도시들의 네트워크의 과거와 현재를 재구성한다. 반재하는 분단 이후의 왜곡된 동시대 한반도의 유통 시스템을 우회하며, 개인의 물건 구매를 통해 비공식적 흐름을 드러낸다. 최가영은 과거 일본의 만주 괴뢰국 식민지 건설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된 남만주철도주식회사의 홍보용 여행 안내서를 길잡이 삼아, 군수 물자의 수송 경로이자 관광의 경로였던 철도 노선을 따라 통조림의 흔적을 추적한다. 두 작업은 이동과 우회, 단절과 연결, 공식성과 비공식성 사이에서 추동되는 역동을 감각하고 언어화 한다. 전시는 이후 10월 30일 인천아트플랫폼에서 리서치 기반 퍼포먼스로 확장된다.
From Recent Rumors and Old Traces reconfigures the past and present of urban networks of Northeast Asia—formerly linked by rail—through the lens of human and goods mobility. Ban Jaeha circumvents the fragmented and distorted distribution systems on the contemporary Korean peninsula—systems shaped by geopolitical division—and reveals informal circulations through acts of personal consumption. Guided by a promotional travel guide published by the South Manchuria Railway Company as part of Japan’s colonial project in Manchukuo, Kayoung Choi traces the movement of canned goods along railway routes that once served both military logistics and tourism. Together, the two works articulate the dynamic tensions between movement and detour, rupture and continuity, formal and informal circuits. The exhibition will culminate in a research-based performance at Incheon Art Platform, scheduled for October 30.
서문
환적의 여정: 이동, 우회, 연결
이혜원
《방금 전의 소문과 오래된 증거로부터》는 시각 예술가 반재하와 최가영, 기획자 이혜원의 동북(東北) 지역 리서치를 바탕으로 기획된 전시이다. 전시는 과거 만주 괴뢰국이었던 지역이자 현재 북-중 접경지역으로 일컬어지는 중국 다롄, 단둥, 선양, 창춘, 옌볜, 투먼 등지를 여행하며 수집한 기록과 물품, 그리고 그 과정에서 마주한 연결과 단절, 우회의 감각을 펼쳐 놓는다. 한때 철도망으로 촘촘하게 연결되었던 동북아시아―남한과 북한, 중국, 일본―도시들의 과거와 현재를 사람과 물건의 이동이라는 렌즈를 통해 재구성하며, 분단과 식민주의가 남긴 유통 시스템의 흔적을 탐색한다.
반재하는 오랫동안 ‘유통’과 ‘분단’의 관계를 탐구해 왔다. 대표적으로 〈무제〉와 〈허풍선이, 촌뜨기, 익살꾼〉 연작은 한반도에 남은 냉전 잔재가 상품화되고 검열되는 과정을 블랙 코미디 형식으로 보여주는 작품이다. 원래의 계획에서 작가는 미국 주문 제작 쇼핑몰에서 ‘북한’ 테마의 머그컵, 티셔츠, 텀블러, 에코백 등을 한국으로 주문∙배송함으로써, 남한에서 금기시되는 북한 지도자의 초상과 프로파간다를 키치한 일상 소품으로 소비하는 자본주의 사회의 유연함과 언캐니함을 드러내고자 했다. 그러나 통관 과정에서 ‘The Great Leader Kim Il‑sung’이라는 상품명이 문제가 되면서, 작가는 55일간 관세사무소와 국가정보원의 ‘야단·탐문·회유’와 통관 지연을 겪으며 원래의 계획은 무산된다. 이를 통해 분단 체제가 개인의 일상에 미치는 영향을 체감한 작가는 이 과정을 ‘남한이라는 무대 위에서 국가보안법이라는 장막에 둘러싸여 38선이라는 제4의 벽을 둔 연극’으로 비유한다. 그리고 문학 이론가 노스롭 프라이(Northrop Frye)가 저서 『비평의 해부』에서 정리한 희극 캐릭터의 분류에 따라 관세사무소·국정원·세관을 각각 허풍선이·촌뜨기·익살꾼에 대응시켜 그들의 공무 집행 과정이 무대 위 연기처럼 변모했던 순간을 유머러스하게 드러내고자 했다.
이런 탐구의 연장선상에서, 반재하는 ‘쇼핑’이라는 일상적 행위를 통해 분단이 초래한 현재의 왜곡된 구조를 확장된 지정학적 네트워크 안에서 살피는 신작을 선보인다. 〈허풍선이, 촌뜨기, 익살꾼〉이 ‘북한 굿즈’ 주문을 둘러싼 기관과 개인의 역할극이라면, 신작, 〈부재시 픽션은 문 앞에 놔주세요〉는 그 주문들이 통과해야 하는 왜곡된 네트워크 자체를 무대로 삼아 분단 이후의 유통 시스템에서 작동하는 비가시적 흐름들을 설치 작품으로 시각화한다. 작가를 추동한 것은 북한-중국 접경 도시에 가면 실제 북한 물건의 거래를 확인 할 수 있다는 ‘소문’이었다. 이에 작가는 본 전시와 연계한 퍼포먼스의 소품을 구하기 위해 북-중 접경까지 찾아 가지만, 대북 제제 등 국제사회의 경제 조치로 인해 실패한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북한과 가장 가까운 접경 지역에서는 구할 수 없었던 물건들을 서울에서 터치 몇 번이면 구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이 ‘실패’에서 시작한 작가는 전시장에 소품을 주문하는 온라인 시스템을 구축한다. 그리고 주문한 상품들이 제3국을 거쳐 남한으로 도착하는 과정을 모니터로 가시화한다. 잠들기 직전 주문한 물건이 ‘샛별 배송’으로 아침보다 먼저 현관문을 두드리는 오늘날, 서울에서 멀지 않은 어떤 곳의 물건이 이곳에 오기까지 거듭되는 비공식적인 거래, 환적과 통관, 경로 변경 같은 지난한 과정은 최소의 시간과 경로가 핵심인 동시대 상품 유통의 경로가 분단이라는 거대 중력으로 인해 굴절되고 왜곡되는 현상을 직유한다.
반재하가 과거의 분단이 현재의 상품의 유통 구조에 끼치는 영향에 집중한다면, 최가영의 시선은 현재 유통되는 ‘통조림’이라는 상품에 초점을 맞춘 채 과거의 흔적으로 향한다. 그동안 이국의 식물, 열대의 과일처럼 전형적인 방식으로 이상화된(혹은 밀폐된) 환상 혹은 낭만적인 비현실을 꿈꾸는 경향과 그 이면의 구조를 탐구해 온 최가영이 통조림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지극히 이치에 맞는 수순으로 보인다. 작가에 따르면, 통조림은 “과거로 내던져진 미래, ‘어느 현재’에 접속하게 될지 모르는 보존된 시간, 자연적인 흐름에서는 절대 만날 수 없는 시간과 장소를 서로 접붙이는 수단”이자 “시간을 붙잡고 공간을 옮기는 욕망”이기 때문이다. 이번 신작에서 작가는 ‘털게 통조림’을 찾기 위해 “살아보지 못한 시대, 가보지 못한 장소를 담고서 과거와 미래 그리고 국경을 넘나드는” 통조림의 이동 경로를 추적한다.
차가운 바다에서 서식하는 털게는 러시아와 일본 홋카이도 인근, 북한 동해에 이르는 해역에서 주로 잡힌다. 과거 일본에서 게 통조림은 그 까다로운 제작과정으로 인해 굉장한 사치품이었다고 한다. 이 통조림을 만드는 배와 공장의 고된 노역에 조선인 노동자도 동원되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작가는 일본에서 만들어진 통조림이 조선과 만주를 오가며 유통됐다는 식민지 시절 기사와, 최근 북·중 무역 관련 논문에서 북한에서 잡힌 털게가 중국산으로 ‘정체성을 저글링하여’ 대북 제재를 피해 유통된다는 사실을 접했다. 여기에서 영감을 받은 작가는 북한산 게를 중국산으로 바꿔 만든 통조림을 남한으로 옮기는 여정을 통해 20세기 초 털게 통조림의 유통 경로를 재구성하는 작품을 구상했다.
최가영이 처음으로 선보이는 영상 작업, 〈103년 전의 가이드북과 털이 자라나는 게〉에서 작가는 털게 통조림의 행방을 좇아 일본 홋카이도에서 한반도를 거쳐 만주 괴뢰국으로 향한다. 작가를 안내한 길잡이는 만주 식민지 건설 사업의 첨병이었던 일본의 남만주철도주식회사가 만주 이주와 관광을 장려하기 위해 발간한 여행 안내서다. 이를 따라 작가는 만주 괴뢰국의 자취가 남아있는 중국 다롄에서 창춘까지 군수 물자 수송 경로이자 만주 관광의 여객 노선이었던 철로를 따라 이동한다. 영상과 함께 설치된 만주국 시절의 교통 지도, 여행 안내 책자, 예상치 못한 장소에서 구한 통조림들은 과거의 특정 시간을 현재로 환적하는 매개체로 기능한다. 이렇게 전시장은 그 자체로 “자연스러운 시간의 흐름에서는 만날 수 없는 시공간을 접붙이는 도구”로 기능하며 한때 해상과 육상으로 연결되었던 동북아시아의 시공간을 새롭게 상상하도록 이끈다. 또한, 관객이 자신만의 여정을 상상할 수 있도록 마련된 〈털게 통조림 트래블 가이드와 스티커〉는 전시장 곳곳에 숨은 정보를 따라 스스로 동선을 그려보고 체험하지 못한 공간과 시간을 연결해 보는 장치가 된다.
본 프로젝트는 동북아시아의 지리적·정치적 경계가 만들어낸 단절을 과거와 현재의 연결을 통해 재구성하려는 시도이자, 개인적 경험과 역사적 서사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새로운 감각을 직조하려는 실험이다. 이를 통해 떠도는 소문과, 오래된 흔적과, 현실의 경험을 엮어 내어 관객으로 하여금 과거와 현재의 단절과 연결을 넘어 끝없는 우회와 헤맴으로 점철된 환적의 여정을 상상하도록 이끌 것이다.
- 전시 연계 리서치-기반 퍼포먼스, 〈뜻밖의 보간과 최근접 이웃 찾기〉
전시 이후 본 프로젝트의 리서치-기반 퍼포먼스, 〈뜻밖의 보간과 최근접 이웃 찾기〉가 인천아트플랫폼에서 진행될 예정입니다. 전시에서 두 작가가 각자의 리서치와 연계된 물건과 그 물건을 쫓게 된 과정에 집중했다면, 퍼포먼스에서는 해당 물건이 유통되는 더 넓은 맥락과 리서치 트립 과정에서 겪은 사건들을 서사화하여 관객과 직접 소통할 계획입니다.
일시: 2025년 10월 30일 (목) 오후 7시
장소: 인천아트플랫폼 C동 공연장
신청:
- 오프라인: 반재하 작가의 작품, 〈부재시 픽션은 문 앞에 놔주세요〉에 접속하여 신청
- 온라인: 9월 중 인스타그램을 통해 공지 예정 (@dear_0rca)
Curatorial Statement
Transshipment Journeys: Movement, Detour, Connection
Hyewon Lee
From Recent Rumors and Old Evidence is an exhibition conceived by visual artists Jaeha Ban and Kayoung Choi, together with curator Hyewon Lee, grounded in their research across China’s Northeast—historically the site of the former puppet state of Manchukuo and today the Sino-North Korean borderlands. Traveling through Dalian, Dandong, Shenyang, Changchun, Yanbian, and Tumen, the project assembles records and objects encountered along the way, unfolding a sense of connection, rupture, and detour. The exhibition reconstructs the past and present of East Asian cities once tightly linked by rail—South and North Korea, China, and Japan—through the lens of the movement of people and goods, tracing the lingering distribution systems forged through colonialism and division.
Ban has long interro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ion” and “division.” Her works, such as Untitled and Alazon, Agroikos, Bomolochos, employ black comedy to reveal how residues of the Cold War on the Korean peninsula are commodified and censored. In her initial plan, Ban ordered “North Korea–themed” mugs, T-shirts, tumblers, and tote bags from U.S. print-on-demand platforms, attempting to expose the flexibility and uncanniness of capitalism in transforming forbidden portraits of North Korean leaders and socialist propaganda into kitschy consumer goods. When customs flagged an item labeled “The Great Leader Kim Il-sung,” however, she endured fifty-five days of reprimand, inquiry, and persuasion at the hands of customs officials and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She came to regard this process as a theatrical performance in which the division system itself became a stage, veiled by the National Security Law as its fourth wall. Drawing on Northrop Frye’s typology of comic characters in Anatomy of Criticism, she cast customs, intelligence agents, and inspectors respectively as the Alazon, Agroikos, and Bomolochos, rendering their bureaucratic actions as staged performances whose humor lay precisely in their excess.
Extending this inquiry, Ban presents a new work that examines how everyday practices of “shopping” illuminate the distorted structures of division within an expanded geopolitical network. Whereas Alazon, Agroikos, Bomolochos staged the role-play between institutions and the individual surrounding the purchase of “North Korean goods,” her new work If Absent, Please Leave the Fiction at the Door takes as its stage the distorted network itself, visualizing the invisible flows operating within post-division distribution systems. What initially drew her was a rumor: that in the border cities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North Korean goods might still be traded. Seeking props for a performance connected to this exhibition, she traveled to these regions, only to fail in her attempt due to international sanctions. Paradoxically, she discovered that goods unavailable at the border could be purchased online in Seoul with a few taps, through overseas collectors or third-country distribution networks. From this “failure,” she devised an installation simulating an online ordering system, monitoring how these items circulate through third countries before reaching South Korea. In an age when next-morning delivery is an everyday norm, the repeated detours—transshipments, customs delays, and route changes—that shape the arrival of such goods dramatize how the immense gravitational pull of division warps and distorts contemporary distribution systems.
While Ban focuses on the effects of division on the present circulation of commodities, Choi turns her attention to canned goods currently in circulation as a way to trace the remnants of the past. Having long explored the structures underlying exoticized and idealized images—tropical fruits, foreign flora, and other sealed fantasies—Choi naturally turned to canned food as a subject. As she observes, the can embodies “a future thrown into the past, a preserved time that may connect to some unknown present; a device grafting together times and places that could never otherwise meet; an emblem of desire to hold onto time and to transport space.” In her new work, she pursues the trajectory of canned hairy crab, following its routes across past and present, across borders and seas.
Hairy crabs thrive in cold waters stretching from Russia and Japan’s Hokkaido to North Korea’s East Sea. In early twentieth-century Japan, canned crab was considered a luxury, produced through arduous labor often performed under exploitative conditions by Korean workers on Japanese vessels and in factories. Through research, Choi traced colonial-era records indicating that Japanese-made crab cans circulated between Korea and Manchuria, as well as recent studies noting how crabs caught in North Korea are relabeled as Chinese products to circumvent sanctions. Inspired by this, she conceptualized a project reconstructing the distribution routes of the early twentieth-century crab can by re-staging the journey of cans disguised in origin and transshipped across borders into South Korea.
Choi’s first video work, A 103-year-old Travel Guide and a Hairy Crab, follows the trajectory of canned crab from Hokkaido through the Korean peninsula to Manchukuo. Her guide is a travel booklet published by the South Manchuria Railway Company, designed to promote migration and tourism as part of Japan’s colonial development enterprise. Tracing this route, she traveled along the railway from Dalian to Changchun—once both a conduit for military supplies and a passenger line for Manchurian tourism. Installed alongside the video are maps, guidebooks, and cans unearthed in unexpected places, all functioning as mediators that transship fragments of the past into the present. Here the exhibition space itself becomes “a device that grafts together times and places that cannot otherwise meet,” inviting the audience to imagine anew the once-interconnected temporalities of maritime and overland Northeast Asia. A complementary workbook kit, Tracking the Hairy Crab Can and Sticker, provides visitors with prompts to map their own itineraries through hidden traces in the exhibition, connecting spaces and times they have not directly experienced.
This project, then, attempts to reconstruct the ruptures produced by Northeast Asia’s geopolitical borders by reimagining connections across past and present. At the intersection of personal experience and historical narrative, it seeks to weave new sensibilities—interlacing rumors, traces, and lived encounters into transshipment journeys marked by detour, disjunction, and relentless search.
Research-based Performance Accompanying the Exhibition: Unexpected Interpolation and Nearest Neighbor Search
Following the exhibition, the project will extend into a research-based performance, Unexpected Interpolation and Nearest Neighbor Search. Whereas the exhibition focuses on the objects tied to each artist’s research and the trajectories that led them to pursue these materials, the performance will expand the narrative to encompass the broader contexts in which these objects circulate, as well as the incidents encountered during the research trip. The performance aims to directly engage the audience by transforming these research experiences into a live, dialogical form.
Date: Thursday, October 30, 2025, 7:00 PM
Venue: Incheon Art Platform, Building C Theater
Registration:
– Offline: Access via Jaeha Ban’s installation If Absent, Please Leave the Fiction at the Door
– Online: To be announced in September via Instagram (@dear_0r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