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
Curatorial
제목: DMZ에 땅을 사는 사람들
구성: 심포지엄, 전시, 출판, 다큐멘터리
시간: 2025년 9월 – 2025년 12월
장소: 서울예술인지원센터, 서울, 대한민국
역할: 큐레이터
후원: 2025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및 서울문화재단 지원 선정
Category: Curatorial
Title: People Buying Land in the DMZ
Components: Symposium, Exhibition, Publication, and Documentary
Period: September 2025 – December 2025
Venue: Seoul Artists Support Center, Seoul, Korea
Role: Curator
Funding: Selected by the Arts Council Korea and the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2025
《DMZ에 땅을 사는 사람들》은 이 같은 역설적 상황에서 출발한 프로젝트로, 실제 DMZ에 땅을 매수한 한 지인의 이야기에서 출발했다. 지인이 매수한 땅은 물리적으로 접근할 수 없으나, 통일 후의 경제적 가치를 기대하는 투자의 대상이다. 한편 부동산 중개인에게 들은 또 다른 이야기에 따르면 DMZ의 토지 매수자들은 종종 실향민으로, 북녘 땅과 연결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토지를 매수한다고 했다.
이처럼 가 볼 수 없는 장소를 소유하고자 하는 현상에 대한 이 프로젝트는 DMZ 연구자, 북한학 연구자, 토지 법학 연구자, 부동산 연구자, 시각 예술가 등과 함께 DMZ라는 상징적인 땅을 거래하는 행위의 다층적인 함의를 다학제적으로 탐구하고자 기획되었다. 이를 통해, 경제적 기대, 실향과 분단의 트라우마를 넘어 우리는 과연 어떤 미래를 바라보고 있으며, 그 미래는 우리에게 어떤 형태로 다가올 것인지 질문을 던지고자 한다. 본 프로젝트는 0. 장소 탐구, 1. 인터뷰, 2. 시각화, 3. 심포지움, 4. 출판, 5. 다큐멘터리의 매체로 구성된다.
The Demilitarized Zone (DMZ), as a symbol of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marks the boundar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by its very existence, embodies profound political and historical implications. Today, this symbolic space has come to attract attention in a different sense. Remarkably, there are individuals who purchase land near the DMZ, some of whom regard the area as a site for economic investment. Because civilian access is strictly limited, such transactions rely on abstract resources—satellite imagery, legal documents, and archival records—rather than direct physical inspection.
People Buying Land in the DMZ emerged from this paradoxical situation, sparked by the account of an acquaintance who purchased land within the DMZ. Although the property cannot be physically accessed, it is regarded as an investment with speculative value in anticipation of eventual reunification. According to real estate agents, other purchasers of DMZ land are often displaced persons, motivated by a desire to maintain a connection to their lost homeland.
In response to this phenomenon of acquiring ownership over an inaccessible site, this project brings together DMZ scholars, North Korean studies specialists, legal scholars of land policy, real estate researchers, and visual artists to pursue a multidisciplinary inquiry into the layered implications of trading in such a symbolic territory. Through this investigation, the project raises critical questions: beyond economic expectations, displacement, and the trauma of division, what visions of the future do we hold, and in what form might that future arrive? The project unfolds across multiple platforms: Research, Interviews, Visualization, Symposium, Publication, and Document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