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
Curatorial
제목: 《컬렉션_오픈 해킹 채굴》
구성: 전시, 프로그램, 출판
시간: 2021년 1월 26일 – 2021년 4월 11일
장소: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대한민국
역할: 코디네이터 (기획 전시 운영 및 프로그램, 출판 지원 담당)
더 알아보기
Category: Curatorial
Title: Collection: Opening Hacking Mining
Components: Exhibition, Program
Period: January 26, 2021 – April 11, 2021
Venue: Seoul Museum of Art (SeMA), Seoul, Korea
Role: Coordinator (Assisted in exhibition operation, program support, and publication)
More Information
《컬렉션_오픈 해킹 채굴》은 미술관을 구성하는 다양한 주체들이 소장품 컬렉션에 접근하는 방식을 실험적으로 모델링함으로써, 기존의 해석·감상·관리 체계 전반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자 기획된 전시이다. 비대면 환경 속에서 온라인 체계가 강화되는 오늘날, 서울시립미술관은 네트워크형 미술관으로의 전환을 앞두고 컬렉션에 대한 다층적이고 복합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전시는 대표작이나 특정 주제에 집중하기보다, 세 가지 상이한 프로젝트를 병렬적으로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로, 채굴·연구 비평 프로젝트를 통해 새로운 컬렉션 아이덴티티와 미래 방향성을 발굴하고자 했다. 두 번째로, 코로나19 시대 소장품과의 만남을 탐색하기 위해 관객과 작가가 주도적으로 작품을 ‘해킹’하며 감상과 가치의 문제를 재고하는 해킹·배움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오픈·소장작품 관리 시스템 프로젝트를 통해 내부자만 접근할 수 있었던 관리 체계를 전시장에 공개하여 그 틈이 드러내는 미술의 본질과 확장 가능성을 시각화했다.
서울시립미술관은 끊임없이 갱신되는 컬렉션을 구축하며, 후속 연구와 논의를 위한 단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번 전시는 타 기관과 차별화된 실험으로서, SeMA 컬렉션이 국내외 지형과 맥락 속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며 성장할 수 있을지에 대한 상상과 탐색의 계기를 마련했다.
Collection: Opening Hacking Mining was conceived as an experimental modeling of how various agents within a museum might approach its collection, with the aim of generating new meanings that challenge conventional systems of interpretation, appreciation, and management. In an era where non-face-to-face interaction and digital infrastructures are increasingly dominant, the Seoul Museum of Art recognized the need for multilayered and complex research on its collection in anticipation of its transition toward a networked museum.
Rather than centering on a set of representative works or a single thematic focus, the exhibition operated through three parallel projects. First, the Mining–Research & Critique project sought to excavate new identities and future directions for the collection. Second, in response to the conditions of the pandemic, the Hacking–Learning project invited both audiences and artists to actively “hack” the collection, prompting renewed reflection on the processes of viewing and value-making. Finally, the Open–Collection Management System project exposed what had been an internally restricted management system within the exhibition space, revealing its structures and illustrating how the gaps within these systems might open up new understandings of art’s essence and potential.
Through this exhibition, the Seoul Museum of Art aspired to build a continuously evolving collection while providing fertile ground for further research and dialogue. This initiative stands as an experimental endeavor that distinguishes SeMA from other institutions and invites speculation on how its collection might position itself, function, and grow within diverse local and global contex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