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2회 서울국제대안영상예술페스티벌 학술 심포지엄: 난파하는 이미지, 구경하는 우리 “Shipwrecking Images, Watching Us,” 22nd Seoul International ALT Cinema & Media Festival Symposium
Talks/Lectures
Writing/Research


분류: 대화/강연, 글/연구
제목: 제22회 서울국제대안영상예술페스티벌 학술 심포지엄
구성: 발표, 글
시간: 2022년 8월 22일
장소: PLATFORM P, 서울, 대한민국
역할: 발표자

더 알아보기


Category:  Talks/Lectures, Writing/Research
Title: 22nd Seoul International ALT Cinema & Media Festival Symposium
Components: Presentation and Writing
Period: August 22, 2022
Venue: PLATFORM P, Seoul, Korea
Role: Presenter

More Information
기획의도

  <난파하는 이미지, 구경하는 우리>는 경험을 초월한 세계 바깥 이미지를 생성하려는 불가능하고 궂은 여정으로서의 시각예술과 관객들의 몰입과 방관의 교차적 관람성을 탐색한다. 현재 팬더믹과 환경 재난 등은 우리에게 인간중심주의를 재고하도록 몰아붙이고 있으며, 이는 인간의 감각적, 인지적 한계를 초과하거나 과학적 차원에서 입증할 수 없는 세계 ‘바깥’을 상상하거나 사변하는 동시대의 실천들로 이어지고 있다. 이 동시대적 실험에서 난파한 배는 불확정적, 비결정적, 파악 불가능한 사건들로 가득한 세계 ‘바깥’으로서의 바다를 떠돌지만, 사실 이 바다는 배와 승선한 사공들이 스스로를 테크네적 도구로 삼아 시뮬레이션되는 구경꾼들의 세계 ‘내부’이기도 하다. 그리고 세계와 안과 밖의 불분명한 경계만큼이나, 관객 역시 거리를 두고 사건에 방관하는 위치에 있지만은 않다. 관객은 경계와 경계 너머에 서서 외부적 관점으로 사건을 관조하지만, 동시에 경계를 가로질러 그 사건 속으로 빠져드는 몰입을 경험한다.

  그렇다면 애초부터 파악할 수 없는 세계 바깥을 그리는 불가능한 이미지와, 그 불가능한 이미지를 내면화하거나 그 속으로 침투하는 우리의 불가능한 경험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본 기획의 제목은 독일의 은유학자 한스 블루멘베르크(Hans Blumenberg)의 『난파선과 구경꾼』(Schiffbruch mit Zuschauer)의 핵심개념을 차용한 것이다. 그는 난파와 구경꾼의 은유를 통해 세계와 삶, 경험과 관찰을 말한다. 긴 역사 속에서 여러 사상가들이 난파와 구경꾼을 다양하게 묘사했던 것만큼이나, 난파된 배와 구경꾼의 경계는 상호 침범의 가능성이 있으며, 그만큼 양립될 수도 가변적일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팬더믹 시대이자 인류세라는 지구 종말로 치닫고 있는 현재, 우리는 삶을 개인으로서 절망적으로 경험하고, 동시에 유래 없는 대규모 현장의 증인으로 멀찍이 떨어져서 목도하고도 있다. 이러한 상황은 우리에게 경험과 관찰을 동시적으로 겪게 하면서 사색하도록 내몬다는 점에서 예술연구의 맥락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사실 세계 ‘바깥’을 그리려는 시도와 그에 대한 기이하고 흥미로운 경험과 관찰의 이중작용은 예술 작품의 수용 및 관람에서 미시적으로 수없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왔던 것이다. 예술 관람이란 기본적으로 나의 바깥에 있는 이미지들을 관조하면서 동시에 움직이고, 생각하고, 감각하는 매 순간 나 자신을 경험하도록 만들기 때문이다. 이 세계 바깥을 그리려는 예술적 시도는 경험과 관찰, 혹은 몰입과 방관이 교차하는 관람 메커니즘을 현실에서 삶을 경험하는 이중적 경험과 병합시켜 관객들과의 공동경험을 성취하려 한다.

  따라서 본 심포지엄은 바깥의 현실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보다 본질적인 차원에서 이해하기 위해 시각 예술의 상호작용을 중요한 단서로 삼았다. 그리고 기존의 맥락화된 세계뿐 아니라 그것이 누락시킨 무수한 의미의 바깥들을, 무의미로 남겨두거나 혹은 규정짓지 않은 채로 전달하는 동시대 시각 예술의 여러 방법과 사례 들을 살피고 그 시의적 의미와 확장의 가능성들을 모색한다. 이를 통해 불확실한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삶이 그 자체로 난파의 여정임을 드러낼 것이다.(심효원, 연세대)




타임테이블

사회: 심효원 (연세대)

13:00~13:10_ 개화사: 한계륜(네마프2022 공동조직위원장, 서울과학기술대)
13:10~15:10_ 심포지엄 1부
명소희 (한국외대) 다큐멘터리 내 가시적 이미지로 교환되는 비가시적 이미지
권수진 (중앙대) 이미지 소멸과 부활에 관한 유물론적 기억과 기록
이나라 (동의대) 아카이브 구경꾼: 지각의 이중 거리
라운드테이블 1  진행자 남수영(한예종), 박영석 (중앙대)

15:10~15:30_ 쉬는 시간
15:30~17:30_ 심포지엄 2부
이창민 (서강대) 난파하는 이미지의 미메시스 : 사례로서의 영화 <토리노의 말>
안정윤 (영상작가) 물에 빠진 벌, 주위를 선회하는 벌, 카메라, 그 위로 날아가는 새
이예현 (수건과 화환 운영자)·이혜원 (시각예술 기획자) 전시공간의 태도적 가치 / 난파선의 구경꾼: 동시대 시각 예술 기획자의 경험과 관찰
라운드테이블 2 진행자 김장연호 (네마프2022 집행위원장), 김신재 (기획자)


-사전 신청 구글폼 링크: https://forms.gle/ZCp8ntDFknPvYbwNA
-공간 후원: PLATFORM P





Project Overview

Shipwrecking Images, Watching Us is a symposium that explores the impossible yet persistent endeavor of visual art to depict the “outside” of the world—beyond the limits of human experience—while examining the audience’s dual position oscillating between immersion and detachment. In the face of ongoing pandemics and environmental crises that challenge anthropocentric worldviews, contemporary art practices increasingly attempt to imagine and speculate on realms beyond human perception and scientific verification. The image of a “shipwreck” serves as a metaphor for this exploration: the drifting vessel symbolizes the indeterminate, elusive, and unfathomable “outside,” yet simultaneously embodies a simulated interior space constructed by the sailors and perceived by spectators. Audiences, therefore, stand at and across the threshold, observing from a distance while simultaneously being drawn into the event.

The title of the symposium draws upon Hans Blumenberg’s seminal concept in Schiffbruch mit Zuschauer (Shipwreck with Spectator), where he articulates how the metaphor of shipwreck and spectatorship illuminates the interplay between world and life, experience and observation. Blumenberg’s notion underscores the porous and mutable boundaries between the shipwrecked and the spectators—an insight that resonates profoundly in our present era of uncertainty, marked by the Anthropocene and the pandemic, where we are simultaneously witnesses and participants in unprecedented events.

This project foregrounds how the reception of art inherently involves oscillations between observation and immersion, making spectators constantly re-experience themselves through images external to them. The symposium thus seeks to merge this mechanism of viewing with the layered experience of living in an uncertain present, examining diverse contemporary artistic approaches that engage with the “outside” of the world. Through these discussions, the event aims to highlight how life itself—lived within and beyond these uncertain boundaries—is a journey of shipwreck in progress.

Timetable
Moderator: Sim Hyowon (Yonsei University)

  • 13:00–13:10 Opening Remarks: Han Gyer-yoon (Co-Chair, Nemaf 2022;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 13:10–15:10 Part 1 Presentations: Myung Sohee, Kwon Sujin, Lee Nara, followed by Roundtable 1

  • 15:10–15:30 Break

  • 15:30–17:30 Part 2 Presentations: Lee Changmin, An Jungyoon, Lee Yeyeon & Hyewon Lee, followed by Roundtable 2

Venue support: PLATFORM P
Pre-registration Link




COPYRIGHTⓒ 2025 HYEWON LEE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