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
Exhibition, Program, Publication
Curatorial
제목: 빛나는 도시, 어두운 황홀경―현대 도시의 디스토피아적 이미지들
구성: 전시, 프로그램, 출판
시간: 2024년 9월 12일 – 2024년 10월 3일
장소: 서울시립미술관 세마 Bunker, 서울, 대한민국
역할: 기획
후원: 2024 서울시립미술관 신진미술인 지원 프로그램
크레딧:
기획: 이혜원
참여 작가: 네스토르 시레 & 슈테펜 쾬, 반재하, 정유진, 팀 트라이어드 | 김호남, 전민제, 홍광민
공간 디자인: PTMT | 이현희, 류민주, 황희원
그래픽 디자인: 핸디킴
미디어 설치: 솔로몬기술단사무소
전시 연계 프로그램: 기안 프라카시
주최·후원: 서울시립미술관
주관: 이혜원
협력: 서울시립미술관 | 이승아, 오윤정, 조근란, 이보배, 조성현, 권진, 조한울
북한인권정보센터 | 이승엽
통역: 위형빈
번역: 에이스번역
사진: 임장활
영상: 이동웅
Category: Curatorial
Title: The Radiant City, Dark Rapture―Dystopic Images of the Modern City
Components: Exhibition
Period: September 12, 2024 – October 3, 2024
Venue: SeMA Bunker, Seoul Museum of Art, Seoul, Korea
Role: Curator
Funding: Supported by the 2024 SeMA Emerging Artists & Curators Support Program
Credits:
Curated by: Hyewon Lee
Artists: Nestor Siré & Steffen Köhn, Jaeha Ban, Eugene Jung, Team TRIAD | Honam Kim, Minje Jeon, Gwangmin Hong
Space Design: PTMT | Hyunhee Lee, Minjoo Ryu, Heewon Hwang
Graphic Design: Handi Kim
Media Installation: SOLOMON Engineering Professional Engineer Office
Exhibition Program: Gyan Prakash
Organized and Supported by: Seoul Museum of Art
Hosted by: Hyewon Lee
Cooperated by: Seoul Museum of Art | Seungah Helen Lee, Yoonjung Oh, Glahn Cho, Bobae Lee, Sunghyun Cho, Jin Kwon, Hanul Cho
The Database Center for North Korean Human Rights (NKDB) | Seungyeop Lee
Interpretation: Matt Wie
Translation: ACE Translation
Photography: Janghwal Lim
Filming: Dongwoong Lee
기획의 글
2024 SeMA 신진미술인 지원 프로그램 이혜원 기획전
《빛나는 도시, 어두운 황홀경―현대 도시의 디스토피아적 이미지들》
환영幻影: 헛보이는 미혹하는 괴이한 도시의 그림자
이혜원
전시의 시작은 인터넷에 떠도는 ‘사이버펑크 디스토피아(Cyberpuck dystopia)’ 서울의 이미지였다. 사이버 펑크는 ‘하이 테크, 로우 라이프(High Tech, Low Life)’로 특징지어지는 디스토피아 SF의 하위 장르를 말한다. 주로 첨단기술에 의해 지배당하는 암울한 근미래를 배경으로 한다. 압축적인 근대화와 불균등한 개발은 서울을 미래와 과거, 최첨단과 낙후함이 공존하는 도시로 만들었는데, 언제부턴가 서울의 마천루와 네온사인 가득한 뒷골목은 인터넷, 게임, 영화 등의 시각문화에서 ‘네오 서울(Neo Seoul)’, ‘사이버펑크 서울’ 등으로 불리며, 수많은 2차 창작 이미지로 유통되고 있었다.
흥미로운 것은 평양 역시 ‘네오 평양’, ‘사이버펑크 평양’으로 재현되어 왔다는 것이었다. 주지하듯, 냉전과 반공 이데올로기 아래 북한은 오랫동안 디스토피아로 재현되어 왔다. 세계 최빈국, 폐쇄국가, 공포정치로 유지되는 독재 국가로 말이다. 그런데 근래 북한이 사이버펑크 디스토피아로 재현되는 배경에는 또 다른 맥락이 있는 듯하다. ICBM 같은 우주 발사체 개발, 사이버 공격 같은 북한의 기술 범죄들은 SF 영화를 떠오르게 하고 상상력을 자극한다. 더욱이 “미래과학자거리”, “여명거리” 등 최근 평양에 조성된 미래적인 도시 풍경은 이런 상상을 증폭시키는 듯하다.
《빛나는 도시, 어두운 황홀경―현대 도시의 디스토피아적 이미지들》은 한반도의 두 도시 서울(남한)과 평양(북한)을 ‘재현된 이미지’로 탐구하는 전시다. 전시는 두 도시라는 장소가 실제 혹은 가상의 디스토피아 이미지로 만들어지고 유통되는 양상에 집중한다. 두 도시의 역사를 살펴보면 상기한 이미지들은 더욱 의미심장하다. 각자의 방식으로 발전해 온 양극의 시공간이지만, 두 도시 모두 전후 근대적인 수도로 발돋움하는 시작점에서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의 유토피아적 모더니즘 도시 계획―'빛나는 도시(The Radiant City)'―으로부터 강하게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각자의 유토피아로 기획된 두 도시가 디스토피아적인 도시로 재현되는 현상은 탐구해 볼만한 질문들을 던진다. 도시의 어떤 특성/조건이 디스토피아적 재현을 야기하는가? 어떻게 이러한 이미지가 생산되고 유통되는가? 그리고 그 이미지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런 질문들을 탐구하기 위해 전시는 세 층위의 구조로 기획됐다. 먼저, 관련 주제를 다룬 논문집인 기안 프라카시(Gyan Prakash)의 『누아르 어바니즘: 현대 도시의 디스토피아적 이미지들』(2024)을 번역하며 이론적 배경을 탐색했다. 이어서, 번역 결과물을 공유하고 전시의 주제를 도출하고자 전시 사전 프로그램으로 〈파멸의 꿈―현대 도시의 디스토피아적 이미지들 그리고 ‘네오’ 서울과 평양〉(2024) 세미나와 워크숍을 진행했다. 본 전시는 네 명(팀)의 작가들과 앞선 논의를 신작으로 발전시킨 결과물이다.
전시가 펼쳐지는 SeMA 벙커는 물리적 장소를 넘어 전시의 개념적 중심에 있다. 벙커를 염두하여 기획된 이 전시는 벙커의 역사적 맥락과 전시 구조를 연결하고자 했다. 2005년 여의도 환승센터 건립 중 발견된 벙커는 70년대 군사정권 때 조성된 곳으로, 북한 공작원 김신조의 청와대 습격 사건, 육영수 여사 피격 사건 등 연이은 안보위기에 대통령 경호를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여의도는 군사정권의 열병식 장소이자 일제가 세운 공항이 있던 곳으로, 벙커는 식민, 냉전과 분단, 군사독재, 도시개발, 자본주의 등의 상징과 역사가 담긴 한국 근현대사의 블랙박스와 같은 곳이다. 본 전시는 벙커라는 블랙박스를 환등기 삼아 영사하는 환영幻影이라고 할 수 있다.
처음 마주하는 작품은 팀 트라이어드의 〈도시재생장치#4: 환상통〉(2024)이다. 팀 트라이어드는 도시의 데이터를 시청각적으로 재구성하는 작품을 선보여왔다. 블랙박스, 즉 전시장 중간에 암실로 조성된 이 작품은 남북으로 놓인 벙커의 허리를 휴전선처럼 수평으로 분절한다. 암실에는 남쪽과 북쪽에 놓인 두 프로젝터가 대치하듯 서울과 평양의 데이터를 빛과 소리의 스펙트럼으로 투사한다. 스펙트럼의 이미지는 스크린 대신 포그머신의 연기에 맺히며 재현이 실체 없는 투사임을 암시한다. 하지만 이는 일방향적인 투사로 그치지 않는다. 관객의 움직임이 연기의 흐름을 바꾸면, 역으로 스펙트럼을 변화시키기 때문이다. 이렇게 작품은 물질과 비물질, 현실과 비현실을 가로지르는 체험을 제공한다.
암실의 어둠을 지나면 네스토르 시레 & 슈테펜 쾬의 〈붉은 시대〉(2024)가 펼쳐진다. 두 작가는 SF 창작물이 현실을 반영하고 형성하는 양태를 추적해 왔다. 본 전시에서는 유명 게임 〈사이버펑크 2077〉에서 재현된 한반도의 모습을 다룬다. 게임에서 2024년의 한반도는 통일 전쟁의 여파로 온 국토가 붉은 핵물질로 뒤덮인 '붉은 시대'에 접어든다. 이 설정에 매료된 게임 팬덤은 이를 게임으로 플레이할 수 있는 모드를 만들어 공유했는데, 작가들은 이를 활용해 붉은 한반도의 풍경을 영상 설치로 구현했다. 이를 통해, 서구 하위문화에서 아시아의 도시들이 소환되는 방식을 보여준다.
붉은 잿더미 뒷편의 긴 벽면에는 철거 중인 대단지 아파트의 영상이 파노라마로 펼쳐진다. 재앙에 감응하는 이미지를 탐구해 온 정유진은 기작 〈신두꺼비〉(2022), 〈사각의 정글〉(2024)과 함께, 신작 〈로봇은 호의로 미소짓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램에 의해 웃는다. 최근의 인간들도 그렇다〉(2024)를 선보였다. 작가는 오랫동안 살았던 정든집이 ‘더 나은’ 주거지로 재탄생하기 위해 파괴되어야 한다는 모순에서, 또한 공사 관계자로부터 서울에 이 정도의 구역이 파괴되는 것은 전쟁 후 처음 있는 일이라는 이야기에서 디스토피아적 감각을 느꼈다고 한다. 작가는 영상 중간중간에 AI로 생성한 디스토피아적 도시 이미지의 파편을 끼워넣고, 그 도시 이미지의 외곽선을 본따 만든 패널을 통해 아파트가 파괴되는 보여주면서 ‘전형적인’ 디스토피아적 도시의 모습에 대해 묻는다.
전시장 곳곳의 푸른 스크린은 반재하의 신작 〈96년 8개월의 크로마키〉(2024)다. 반재하는 '유통'과 '분단'이라는 키워드를 주로 탐구해 왔다. 본 작품은 ‘지상낙원’이라는 이름으로 진행됐던 ‘재일 조선인 북송사업(在日朝鮮人北送事業)’의 역사와 관련 이미지를 살펴본다. 작가는 북송 재일교포 탈북민 인터뷰와 당시 ‘유토피아’로 선전된 이미지를 활용한 선택지 게임을 선보인다. 특히 ‘크로마키’라는 영상 합성 기술을 통해 역사 이미지와 새로운 관계맺기를 시도하는데, 이는 과거의 시간을 벙커에 현전하게 하는 통로로 사용된다. 또한, 화면에 끼어드는 이미지의 파편들은 북송이라는 일생일대의 결정을 추동한 트리거가 도시 이미지와 영상에 대한 매료였다는 사실을 암시한다. 선택지 게임에서 북송자들의 문제는 우리의 문제가 된다. 게임은 관객에게 선택이라는 액션을 통해 그 어떤 매체보다 역사의 증언에 적극적으로 참여시키고 몰입하게 한다.
결론적으로 본 전시는 장소가 이미지로 생산되고, 유통되는 영향 관계의 복합성을 드러내면서 그 관계와 연결된 조건들을 가능한 선명히 펼쳐내고자 했다. 우리가 장소의 이미지를 만들고, 다시 그 이미지가 우리에게 영향을 끼칠 수 있다면, 우리는 현실에 대한 파악을 통해 대안적인 인식의 구축을 시도함으로써, 도시라는 이미지, 나아가 우리의 삶에서의 새로운 이미지의 구축을 상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Curatorial Statement
SeMA Emerging Artists & Curators 2024
The Radiant City, Dark Rapture―Dystopic Images of the Modern City
Illusions: Deceptive Enchanting Weird Shadows of the City
Hyewon Lee
The term "dystopia," originating from the Greek words 'dys' (bad) and 'topos' (place), refers to a vision of a negative, dark world or worldview. It has historically emerged in literature and ideological critiques to depict bleak future societies, often as a means of reflecting on and critiquing contemporary conditions. In recent years, dystopian themes have proliferated across popular culture, particularly in films, television series, and video games. These dystopian settings are frequently portrayed as urban landscapes, often modeled on high-tech metropolises or specific real-world locations (or a combination of both). The visual culture of dystopia began to take shape with the rapid modernization and urbanization of the 20th century. The cultural, artistic, and media impact of dystopian imagery, as seen in works ranging from The Book of Revelation to modern dystopian narratives, has been profound and far-reaching.
This exhibition explores the contemporary representation of two cities on the Korean Peninsula—Seoul and Pyongyang—as dystopian settings within both Korean and global visual culture. For instance, Seoul (South Korea) is widely recognized in global online communities by the monikers 'Neo Seoul' and 'Cyberpunk Seoul,' terms that yield many secondary creative works and popular content upon searching. The cyberpunk genre, a subgenre of dystopian science fiction, is characterized by its "high-tech, low-life" aesthetic, depicting a grim and oppressive future society shaped by advanced technology. Interestingly, Pyongyang(North Korea) has also been similarly portrayed as 'Neo Pyongyang' and 'Cyberpunk Pyongyang,' drawing parallels to Seoul's representation.
Romanian war correspondent Adelin Petrisor’s photobook A Weekend in Pyongyang, North Korea (2016) captures the dystopian atmosphere of Pyongyang, evoking imagery reminiscent of George Orwell's 1984. This perspective likely emerges from Petrisor’s observations of the city's modern architecture and the highly regulated behavior of its citizens. Additionally, North Korea's technological advancements, such as missile development and cyberattacks, further cement its image as a ‘cyberpunk dystopia.’ Media coverage of North Korea’s missile provocations, government-led hacking, and cryptocurrency theft evokes themes familiar from science fiction, further stimulating public imagination about the country.
This phenomenon is particularly intriguing when we consider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 of Seoul and Pyongyang into modern urban centers. Despite their divergent trajectories, both cities have been significantly shaped by Le Corbusier's utopian modernist urban plan, The Radiant City, as they emerged as modern capitals following the Korean War. The fact that these cities, once envisioned through utopian ideals, are now depicted as dystopian settings in contemporary visual culture raises important questions. What characteristics or conditions lead to their portrayal as dystopias? How have these images been produced and disseminated? And what significance do these images hold for contemporary society?
This exhibition addresses these questions through a multi-layered exploration. Its theoretical foundation draws on translating the scholarly collection Noir Urbanisms: Dystopic Images of the Modern City (2024). Additionally, a seminar and workshop titled Dreams of Apocalypse: Dystopic Images of the Modern City and 'Neo' Seoul and Pyongyang (Amado Art Space, 2024) facilitated the development of the exhibition’s central themes. This exhibition is the culmination of these investigations, further expanded through collaboration with the artists. Together with the curator, the artists have examined the isomorphic and heteromorphic characteristics of Seoul and Pyongyang in relation to dystopian imagery, resulting in newly commissioned works that interpret the exhibition's themes in diverse ways.
The artist duo Nestor Siré & Steffen Köhn present Time of the Red, inspired by SeMA Bunker, which explores the Korean Peninsula as reimagined within the popular cyberpunk game Cyberpunk 2077. Through fan fiction and fan art, their machinima video installation expands the game’s universe, reflecting on the cities as secondary creative constructs.
Jaeha Ban’s work Chromakeys of 96 Years and 8 Months delves into the history of the ‘repatriation of Korean residents from Japan to North Korea’ (在日朝鮮人北送事業), once heralded as a movement to a ‘paradise on earth.’ The artist employs video installations and game works that juxtapose historical promotional materials with contemporary reflections, incorporating interviews with Zainichi Koreans who were repatriated to North Korea and later defected.
Eugene Jung’s new work Robots Smile Not Out of Kindness, But Because They Are Programmed To. So Do Humans Nowadays (ロボットは好意で微笑むのではなく、プログラムで笑う。最近の人間もそう) deconstructs the conventional cyberpunk cityscape through AI-generated imagery, alongside her existing works.
Media artist group Team TRIAD presents Urban Jaesaeng Device #4: Phantom Pain, part of their ongoing urban regeneration series. Through compressed image spectrums and soundscapes based on media representations of Seoul and Pyongyang, the installation invites the audience to experience the fragmented perception of dystopian imagery through light and sound interactions.
Together, these artists interrogate the dystopian representations of Seoul and Pyongyang at the intersection of reality and fiction. Their works explore how these cities have been imagined and how these representations shape our understanding of urban life, dystopian futures, and the broader socio-political context.